용종 절제 후 응고 증후군 (Postpolypectomy coagulation syndrome)
용종 절제 시 전기 응고에 의하여 점막에 급성 염증이 발생하면서 복통, 발열이 발생하는 증후군 금식 및 항생제 투여로 대부분의 경우 호전됨.
용종 절제 시 전기 응고에 의하여 점막에 급성 염증이 발생하면서 복통, 발열이 발생하는 증후군 금식 및 항생제 투여로 대부분의 경우 호전됨.
갑상선 기능 저하증은 대부분의 환자가 영구적이며 평생 호르몬 보충이 필요합니다. TSH 가 10 mlU/L 이상이면 치료대상이고 TSH 5~10 이면 갑상선 호르몬 보충이 필요한지 논란은 있으나, 임신한 경우에는 보충합니다. 우리나라에서 사용 가능한 갑상선 호르몬 제제 levothyroxine sodium (LT4) 50/100/150 μg :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1차 선택 약제 liothyronine sodium 20μg : 갑상선암 수술 후 추적관찰시 일시적으로 … Read more
최근 외국인 환자가 많이 늘었습니다. 영어대화가 자유롭지 않아 답답할 때가 많습니다. chatGPT 를 이용하여 진료 상황을 가정, 현실에서 있을 법한 진료 상황을 영어 대본으로 구현해보았습니다. 영어대화 #1. 감기로 인한 내원 환자(Patient): Hi, I hope you can help. I’ve been feeling under the weather lately. It started with a scratchy throat, and now I have a … Read more
최근에 한 고령의 환자가 내원하였습니다. 심장이 좋지 않아 인공심박동기를 설치했다고 합니다. 진료를 위해 흉부 X-ray 를 촬영하였고, 심박동기가 있을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상한 것이 있었습니다. 바로 이식형 심장 사건 기록기 (Implantable loop recorder) 였습니다. 이식형 심장 사건 기록기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이식형 심장 사건 기록기의 종류 이식형 심장 사건 기록기 (ILR) 은 USB 메모리 … Read more
IgA 혈관염의 역학 IgA 혈관염의 원인 다양한 감염원, 약물, 예방접종, 암, 알레르기 성향, 추운 날씨에 대한 노출 등이 관련이 있음. IgA 혈관염의 진단기준 IgA 혈관염의 콩팥 침범 IgA 혈관염의 치료 및 예후 참고자료 : 사구체질환 신장질환을 알기위한 중요한 신장병리 후려치기참고자료 : 현미경 혈뇨 (미세혈뇨) 가이드라인
항갑상선제 2가지 항갑상선제는 크게 두 종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Thionamide 와 Propylthiouracil 입니다. Thionamide (methimazole ; MMI, carbimazole ; CMZ) Propylthiouracil (PTU) 항갑상선제 처방 방법 Methimazole (MMI) Propylthiouracil (PTU) 갑상선 호르몬 수치는 언제 검사하나? 항갑상선제와 갑상선 호르몬제 병용 (Block anc Replacement Therapy) 갑상선 항진증의 관해 및 재발 항갑상선제의 부작용 경미한 부작용 (1~5%) 중증 부작용 무과립구증 … Read more
손톱에 생긴 검은 줄무늬를 의학용어로는 Melanonychia (흑색조갑증) 라고 합니다. Melanonychia 이란? 손발톱의 일부 혹은 전부에 멜라닌 색소가 침착된 것을 말합니다. 이는 멜라닌 세포(melanocyte)의 활성화에 의해 멜라닌 합성이 증가하거나 멜라닌 세포의 수가 증가할 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Melanonychia의 원인 원인은 매우 다양합니다. Melanonychia 와 악성흑색종 (Malignant melanoma) 와의 구분 손발톱판 (nail plate) 근처의 피부, 손발톱 주름(nail … Read more
1. 급성 발작이 있을 때, 항염증제(NSAID, colchicine, corticosteroid)의 효능은 동등하므로, 개별 환자의 위험도를 고려하여 처방할 수 있다. 2. 요산저하제 사용의 적응이 되는 통풍 환자에서 급성발작이 있을 때 항염증제와 요산저하제의 동시 투여를 고려할 수 있다. 통풍 발작 기간 동안 요산저하제를 사용하는 것은 의미있게 통풍 발작의 위험도가 증가하거나 통풍 발작 기간이 늘어나지 않았기 때문에 급성 발작이 있는 … Read more
최근 진료실에 오시는 외국인 환자가 많이 늘었습니다. 미얀마, 베트남, 태국, 필리핀, 중국인 등등 국적도 다양해진 것 같습니다. 대부분 통역이 가능한 사람을 대동하여 오시는 경우가 많지만, 미국이나 캐나다, 영국, 필리핀 등 영어권 나라 국적의 환자분들은 그냥 오셔서 영어로 대화할 때가 종종 있습니다. 그럴 때마다 영어로 세심한 표현이 자유롭지 않아 답답할 때가 많습니다. chatGPT 를 이용하여 진료실에서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