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전도 자율신경계와 심박수, 자동능중심

자율신경계와 심박수

자율신경계와 심박수 : 교감신경계가 미치는 영향 자율신경계인 교감신경계가 자극을 받으면 (norepinephrine 이 Beta1-adrenergic receptor를 자극) 동방결절을 자극해 심박동이 빨라집니다. (rate of SA node pacing 증가) 또한 방실결절의 전도를 향상, 심방과 심실 심근세포의 전도 속도도 빨라집니다. (rate of conduction 증가) 그리고 심근의 수축력을 증가시깁니다. (force of contraction 증가) 심방과 접합부의 자동능중심의 활성도를 증가시키고, 심실내 자동능 중심에도 … Read more

심전도 기본개념

심전도 기본개념

심장의 탈분극과 재분극 심전도 기본개념 (1) 동방결절 (SA node) 우심방의 후벽 상방에 위치한 심장의 주도적인 박동기입니다.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탈분극의 파장을 만들어 냅니다. 동방결절에서 발생되는 리듬을 동율동 (sinus rhythm) 이라고 합니다. 이러한 심박동의 발생은 저절로 발생하는 것으로 이런 자동능을 가진 조직을 자동능중심 (automaticity foci) 이라고 합니다. 심방의 탈분극은 심전도상에서 P파 (P wave)로 기록됩니다. 즉 P파는 … Read more

심전도 축(Axis)의 평가, 축 편위(Deviation), 축 회전(Rotation)

axis

일반적으로 심전도의 Axis 라고 하면 심실의 전기 흐름 방향인 QRS axis 를 의미합니다. 정면에서 봤을 때 전기 흐름 방향입니다. 심근의 탈분극은 방향을 가지고 진행하는데, 이 방향을 Axis 라고 합니다. QRS complex 는 양쪽 심실의 동시 자극 및 수축을 나타내며, QRS complex 의 벡터는 심실 탈분극의 모든 벡터들의 총합입니다. QRS complex 의 벡터의 시작은 AV node … Read more

불규칙한 심전도 리듬 해석 (Irregular rhythm)

Irregular rhythm

간격이 일정하지 않은 리듬 (패턴을 예측하기 어려운 불규칙하고 혼란스러운 리듬) 을 심전도에서 확인했다면, 이러한 불규칙한 리듬은 여러 군데의 활성화된 자동능중심에서 유도된 것입니다. 이러한 불규칙한 심전도 리듬이 보인다면 3가지를 생각합니다. (1) 방황성 페이스 메이커 (wandering pacemaker), (2) 다중 이소성 심방 빈맥 (Multifocal atrial tachycardia, MAT), (3) 심방세동 (Atrial fibrillation, AF) Irregular rhythm (1) 방황성 페이스 메이커 … Read more

김미경의 마흔수업 : 기억에 남는 구절 모음

김미경의 마흔수업

화제의 책인 ‘김미경의 마흔수업’을 지역 도서관에서 빌려보았습니다. 인기 도서라 예약을 하여 겨우 대출 할 수 있었습니다. 예약 도서가 도착했다는 문자 메세지를 받고 퇴근길 도서관에 들렀습니다. 1층에 계신 사서분에게 예약도서를 받으러 왔다고 전하니, 본인이 읽고 있던 책을 저에게 전해주었습니다. 일하면서 틈틈이 읽고 있었던 책이었습니다. 이곳저곳 포스트잇으로 붙여놓은 부분을 급하게 떼어내고 제게 전해주었습니다. 늦은 시각에 찾으러 간 … Read more

성인예방접종 폐렴구균 백신

폐렴구균 백신

폐렴구균 백신은 외래진료에서 예방접종에 대해 가장 많이 문의하시는 내용 중 하나입니다. ‘제가 폐렴 예방접종을 맞아야 할까요?’, ‘두 가지 다 맞아야 하나요?’, ‘언제 맞아야 하나요?’ 등 경우의 수가 많기 때문에 자주 문의를 하시는 것 같습니다. 아래 내용을 참조하시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것입니다. 폐렴구균(Pneumococcus) 이란? 폐렴구균은 급성 중이염의 가장 흔한 원인균이고 폐렴, 수막염, 균혈증 및 부비동염의 원인이 … Read more

인생시계, 우리 인생이 24시간 이라면

인생시계

김미경의 마흔수업이라는 인기있는 책에서 본 인생시계에 대한 내용입니다. 인생시계는 김난도 교수의 ‘아프니까 청춘이다’ 에서 나온 말로 사람의 일생을 24시간에 빗대어 표시한 것이 인생시계입니다. 당시 평균수명인 80세를 24시간이라고 볼 때 1년이라는 기간은 고작 18분에 불과합니다. 그러면 마흔은 낮 12시, 정오가 됩니다. 이 개념을 확장하여 100세 시대라고 가정하면 1년은 대략 14분 24초가 됩니다. 40세는 오전 9시 36분, … Read more

성인예방접종 파상풍

파상풍 예방접종

파상풍은 Clostridium tetani 가 생산하는 tetanolysin, tetanospasmin 이라는 두 가지 독소에 의해 유발되는 급성 질환입니다. 특히 tetanospasmin 독소는 신경독소로 극미량으로도 증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상처를 통해 균이 인체에 유입되면, 혐기상태에서 독소를 생성하고 그 독소가 몸속에 퍼져 신경조직에 작용합니다. 잠복기는 다양하나 보통 3~21일 이내 증상이 발생합니다. 중추신경계에서 가까운 곳의 상처일 수록 잠복기는 줄어듭니다. 임상 증상에 따라 … Read more

성인예방접종 B형 간염 예방접종

성인예방접종 B형 간염 예방접종

B형 간염 예방접종 하셨나요? 우리나라는 아직 B형 간염이 많습니다. 또 건강검진에서 B형 간염 항체를 많이 검사합니다. B형 간염 백신 접종해야 하나요? 항체가 없으면 어떻게 할까요? 이 글을 통해 정확한 내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B형 간염 예방접종 개요 0, 1, 6개월의 일정으로 3회 근육주사합니다. 2차 접종은 1차 접종 후 1개월 뒤에, 3차 접종은 2차 접종 후 4-6개월에 … Read more

헬리코박터 제균치료 (1차, 2차) 외래 설명자료

헬리코박터 제균치료

현재 건강보험 제도하에서 헬리코박터균의 제균치료는 합법적으로 가능합니다. 물론 대부분 본인부담 100% 의 형태입니다. 과거에는 헬리코박터균 제균치료 대상자가 아닌데 제균치료를 했다면 비급여로 치료했다고 해도 임의비급여로서 불법이었습니다. 그러나 아직까지 헬리코박터 검사를 언제, 누구에게 해야하는지 명확한 지침이 없습니다. 따라서 내시경 검사를 받기전 미리 헬리코박터 검사에 관해 상의하지 않으면 일반적으로 모든 사람에게 헬리코박터 검사를 시행하지 않으며 특정 내시경상 점막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