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 사용안내서 11판 (팍스로비드, 라게브리오)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 사용안내서 11판이 새로 나왔습니다. (문서 최하단 다운로드 링크 포함) 이번에 코로나바이러스가 감염병 4급으로 낮게 조정되면서 코로나바이러스 검사비 지원도 종료되었습니다. 신속항원검사의 경우 먹는 치료제 대상자에 해당되는 경우라면 보험적용 (본인부담률 50%) 이 됩니다. 따라서 먹는 치료제 투여대상이 중요한데, 이번 11판에서는 기저질환에 ‘고혈압’ 항목이 정확히 명시가 된 것이 큰 차이점입니다.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1) : 팍스로비드 투여대상 치료제 … Read more

웨어러블 심전도 (Wearable ECG)
최근에 여러가지 웨어러블 심전도 (wearable ECG) 가 개발되었습니다. 과거에는 부정맥이 의심되면 24시간 동안 심전도를 모니터링하는 홀터 검사를 했습니다. 하지만 홀터 기계 자체의 가격이 무척 비싸 1차 의료기관에서 기계를 운영하기 어려웠습니다. 또한 환자분이 홀터 기계를 착용했을 때 주렁주렁 전선이 많아 검사하기가 참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여러가지 웨어러블 심전도가 개발되고 건강보험의 적용도 받을 수 있어 손쉽게 심전도 모니터링이 … Read more

1퍼센트 부자의 법칙 (사이토 히토리) 기억에 남는 구절 4가지
6개월전 출간된 ‘세이노의 가르침’이라는 책은 아직도 베스트 셀러 순위에 남아있습니다. 저도 예약하여 초판, 블랙에디션으로 구매하였습니다. 이 시기 일본판 ‘세이노의 가르침’ 인 사이토 히토리가 지은 ‘1퍼센트 부자의 법칙’이 같이 우리나라 베스트셀러에 오르기 시작합니다. 한 번 읽어봐야겠다 생각했다가 이번에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책 자체가 얇고 (174 pages) 가볍워 읽기 부담스럽지 않은 책이었습니다. 그러나 결코 내용은 가볍지 않은 책입니다. … Read more

항혈소판제와 항응고제를 동시에 사용해야할 경우 (5가지 CASE)
항혈소판제와 항응고제를 동시에 사용해야할 경우가 있습니다. 심장 스텐트 시술을 하여 이미 항혈소판제를 사용하고 있는데, 폐혈전증이 진단되어 새롭게 항응고제를 추가하는 경우나 심방세동으로 항응고제를 이미 사용하고 있는 중인데, 새롭게 관상동맥 스텐트 시술 이 후 항혈소판제를 추가하는 경우 등이 그 사례입니다. 이런 경우 솔직히 참 고민스럽습니다. 혹시나 출혈의 위험성이 크게 증가하지 않을까 염려됩니다. 그렇다고 임의로 한 가지 약제만 … Read more

국민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
국민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을 유지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소득요건과 재산요건을 충족해야 합니다. 소득요건과 재산요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국민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 유지방법 소득 요건 연 소득 합계가 2000만원 이하로 과세대상 사업소득은 없어야 합니다. 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았다면, 연 소득 500만원 이하는 소득이 없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다만 부동산업에서 발생하는 소득 중 주택임대소득이 있는 경우는 제외됩니다. 장애인, 국가유공자, … Read more

8월 31일부터 코로나19 4급 감염병으로 전환
코로나19가 2023. 8. 31 부터 독감 (인플루엔자) 와 같이 4급 감염병으로 전환됩니다. 세부내용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코로자19 고위험 환자 보호를 위한 실내 마스크 착용, 선제검사, 격리 권고 유지 환자들이 입원해 있는 병원급 의료기관과 입소형 감염취약시설 내 실내 마스크착용 의무는 고위험군 보호를 위해 현행 유지합니다. 감염 시 건강 피해가 큰 의료기관, 요양병원·시설 감염 관리를 위해 입원·입소전 선제검사는 … Read more

의학용어 CAG 와 의학용어 PCI
의학용어 CAG 는 coronary angiography, 관상동맥조영술의 약자입니다. 의학용어 PCI 는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경피적관상동맥중재술의 약자입니다. 쉽게 말해 CAG 는 관상동맥에 이상이 있는지 살펴만 보는 것이고, PCI 는 좁아진 관상동맥에 스텐트를 삽입하여 넓히는 것입니다. ※ 참고 : 내시경과 관련하여 의학용어 CAG 는 Chronic atrophic gastritis (위축성 위염)의 뜻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의학용어 CAG 와 의학용어 PCI : … Read more